‘아니타 무르자니’
암과의 사투 끝에 죽음의 문턱을
넘어 돌아온 인도의 여성.
싱가포르에서 태어나 줄곧 홍콩에서 살았다.
2002년 4월 임파선암이 발견되었고,
4년 동안 투병생활을 했다.
2006년 2월 2일.
악성 세포가 차지한 그녀의 몸은
마침내 기능을 멈추었고
임사체험 상태로 들어간다.
30시간 동안 임사체험을 한 뒤
그녀의 삶의 관점이 고스란히 바뀌게 된다.
이 책을 읽은 것은 작년 말이었다.
내가 갑작스런 이별로 고통받고 있을 때
마음공부를 시작하면서 이 책이 내게 왔다.
이 책의 앞머리는
뛰어난 자기계발 전문가이자 심리학자,
‘행복한 이기주의자’라는 베스트셀러 작가로도
잘 알려진 ‘웨인 다이어’의 서문으로 시작한다.
그가 이 책에 서문을 쓰게 된 것도
책을 읽다보면 잘 알 수 있다.
우리 모두가 연결되어있음을.
요즘 자기계발서의 트렌드는
부자 되는 것에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진짜 나를 찾는 ‘마음공부’인 듯하다.
오히려 그것에 집중을 하다보니
자그마한 좋은 일들이 더 많이 생기고
마음의 안정 역시 가지게 되었다.
내가 책을 읽고 혹은 느껴낸 지식들을
앞으로 여러 가지 책 리뷰를 통해 전달하고 싶다.
다시 이 책의 소개로 들어와서
내가 이 책을 읽고 나서 느낀 것은
죽음이라는 것이 무서운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그리고 모든 것이 변했다’ 속
아니타 무르자니를 포함한
임사체험을 경험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죽음이라는 게 결코 무서운 것이 아니며
‘진짜 나’인 ‘나의 영혼’이
이번 생을 살기로 결정했던 몸 속에서 나와
나의 껍데기를 볼 수 있고
오감이 아주 세밀하게 작동해 멀리서 내는
소리 역시 다 들을 수 있었다고 한다.
그리고 공통적으로 하는 말은
온 몸이 사랑의 힘과 빛으로 감싸여서
너무 행복한 기분이 들고
결국은 모든 것이 잘 짜여진 것처럼
연결되어 있음을 느낀다는 것이다.
이 책을 읽은 이후,
좋아했던 사람들의 죽음은
싫고 슬픈 것이 당연하지만,
그들이 오히려 행복함과 사랑의 빛에 감싸여
있다고 생각하니 마음이 한결 나았다.
이 책은 사랑의 책이다.
확실히 그렇다.
그리고 그저 ‘앎’에 대한 책이다.
시크릿, 끌어당김에서 저항이 생기는 기본 원리는
밀어냄의 법칙이 작동하는 것인데
끌어당김의 기본 역시
그저 ‘앎’ 그저 아는 것이다.
그 일을 내가 생각했고 이미 가졌다 생각했으니
한치의 의심도 없이 그저 받을 줄로 아는 것.
그것이 방법이고 포인트다.
릴루마세가 아니타 무르자니를
인터뷰하는 것을 보면
아니타는 그저 ‘앎’이라고 말한다.
그녀는 21개의 커다란 종양덩어리가
온몸에 퍼져있었고 숨도 쉬지 못하는 상태로
죽음까지 갔고 병원에서도 손쓸 수 없다고 했다.
하지만 그녀가 30시간만에 임사체험에서 돌아와
그녀의 몸은 몇개월만에 학술적으로는
불가능한 상태였으나 완벽하게 나았다.
그저 그녀는 자신이 나아질 줄 알았기 때문에
의심이 없었기 때문에 모두 ‘기적’이라
말하는 일이 가능했던 것이다.
죽음을 체험하고 온 사람들은
우리에게 다시는 돌아오지 않는
지금 ‘이 순간’을 아주 잘 살아내고 있다.
어떠한 일에도 크게 개의치 않고,
모두에게 사랑을 내뿜으며 말이다.
왜냐하면 결국 우리 모두는 연결되어 있고,
내가 사랑을 주는 존재 역시 나이기에.
'책과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랑을 말하는 영화 ‘북클럽’ (5) | 2020.12.14 |
---|---|
만남의 의미를 돌아보게 하는 영화 ‘아이네 클라이네 나흐트 무지크’ (0) | 2020.08.27 |
가진 것이 없다면 운으로 승부하라 (2) (0) | 2020.08.01 |
가진 것이 없다면 운으로 승부하라 (1) (0) | 2020.07.25 |
감사한 지금 이 순간(feat.오래된비밀 / 더 해빙) (0) | 2020.05.07 |
댓글